마음수련 교원직무연수 후 변화된 대인관계
강윤숙 / 교사
난 중학교에서 1학년 국어를 가르치는 교사다. 요즘 아이들 참 말 안 듣는다고 한다. 그럼, 난 학교 다니면서 어땠을까. 모범생이었다. 선생님들의 귀여움도 참 많이 받았다. 그런데 마음수련을 하면서 내 마음 안 풍경을 봤더니, 이보다 더 이기적인 학생이 있을까 싶다. 앞에서는 말 잘 듣는 학생이었는데, 그 마음 안으로는 갖가지 시비를 다 걸며 선생님들을 무시했던 것이다.
세상에서 제일 잘난 줄 알았던 나
나 혼자만 잘나, 친구들도 무시했었다. 그래서인지 친구가 많지 않았다. 친구들도 착한 얼굴로 앉아 속으로는 자신을 무시하던 나의 마음을 알았나 보다.
사실 자라면서 어른들에게 칭찬받고, 선생님께 칭찬받고, 부모님에게 공부 잘한다는 소리를 듣던 나는 내가 이 세상에서 가장 잘난 줄 알았다.
대학 때도 친구들보다 더 인생을 깊이 있게 살고 있고, 진실하게 살고 있다고 자부했다. 중학교 선생님이 되어서도 그랬다. 다른 선생님들은 내가 생각하는 ‘바른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더더욱 나와 성향이 다른 선생님들과 마찰이 많았다. 큰일은 일어나지 않았지만, 항상 그분들은 불편해했고, 서로 불만이 많다는 걸 느꼈다. 학생들이 내 진실된 마음을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원망스러웠다.
항상 잘났고, 나만 옳다고 생각하던 나였기에 결혼생활도 무척 힘들었다. 나에게 부조리한 많은 걸 요구하는 것처럼 느껴지는 시어머니와 나와 진실된 삶을, 평등한 삶을 살자고 약속했던 남편이 그 언저리에 가지도, 가고 싶어하지도 않는 것처럼 보여 짜증 났다. 짜증은 우리 아이들에게로 향했다. 어느 날 “엄마, 나에게 소리 지르지 마. 무서워!”라고 큰딸이 하소연했다.
마음 버리자 비로소 보인 남편, 시어머니의 원래 모습
동료 교사의 소개로 마음수련 교원직무연수를 했다. 여러 날, 내 인생, 내 마음을 들여다보면서 깊은 반성의 눈물을 흘렸다. 내 마음과 씨름하면서, 그 마음들을 하나씩 하나씩 버려나갔다.
그러면서 주위에 있는 모든 사람들, 가족, 남편, 딸들, 시댁 식구들, 친구들, 학생들, 선생님들에게 정말 ‘잘못했습니다’라고 마음속으로 계속 되뇌었다.
마음수련 교원직무연수를 한 후 사람들과의 부딪침이 점점 줄었다. 매일 저녁, 그날의 나를 돌아보면서 마음을 버렸다. 지금은 매 순간 그 마음들을 버린다. 어느 사이엔가 산다는 것이, 인생이 너무나 즐겁고 기뻤다. 집에서 가족들과 있으면 가족들과 있어서 행복하고 좋다. 학교에 오면 학생들과 선생님들과 얘기하고 떠들며 하루가 즐겁다. 무엇이 날 이렇게 만들었나 생각해 봤다. 그랬더니 다른 사람에 대한 ‘바람’이 많이 줄어들었다.
예전에는 남편에게, 아이들에게, 학생들에게, 주위 선생님들에게 바라는 것이 많았다. 다 내 입장에서 좋은 것, 맞다고 생각하는 것이었다. 마음을 버리고 본 남편은 참 따뜻한 사람이었다. 자신의 입장보다 나를 더 생각해 주는 정말 ‘착한 남편’이었다. 시어머니는 며느리 고생하지 않도록 자신이 대부분을 희생하시는 헌신적인 분이셨다. 아이들은 내 인생의 행복함을 같이 즐기라고 하늘이 보내준 동락자(同樂者)였다. 더 이상 내가 옳은 것을 교육해야 하는 대상이 아니었다.
내가 달라진 걸까? 아이들이 달라진 걸까?
예전엔 학년 부장님과 자주 부딪쳤다. 교육적이지 않은 많은 것들을 나에게 강요한다고 여겼다. 주위 선생님들도 마음을 터놓고 지낼 수가 없이 불편했다. 지금 나는 학교에서 만나는 모든 선생님들의 팬이다. 참 열심히 살며 교육하는 모습을 보면 존경스럽다. 그 선생님들과 이 얘기, 저 얘기 하며 지내는 시간이 마냥 즐겁다.
중학교 1학년 아침 독서시간. 책을 읽다가 아이들을 바라봤다. 이 아이들은 참으로 마음을 잘 연다. 내가 그 마음을 조금이라도 알아주면 나를 향해 마음을 활짝 열고 기다린다. 그리고는 곧 나와 친구가 된다.
아이들은 자신들의 무한한 가능성을 일깨워주길 바라는 눈으로 나를 바라본다. 예전에 나는 학생의 장점보다 단점을 훨씬 많이 알고 있는 교사였다. 내 교실에는 장점이라고는 눈 씻고 찾으려 해도 찾을 수 없는 학생들만 있었다. 내가 달라진 걸까, 학생들이 달라진 걸까. 답은 너무나 분명했다.
난 지금 단점보다 장점을 훨씬 많이 가진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그리고 학교라는 공간을 통해 이렇게 많은 아이들과 마음을 나누게 됐다는 것이 너무나 감사하다. 내 주변의 사람들은 원래부터 아름다운 인연으로 내 옆에 있었다. 그것을 알게 해준 마음수련에 감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