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수련 명상’ 화와 스트레스 해소에 탁월 입증

중도일보
2015-09-16 17:09

대한스트레스학회 발행 최근호… 자기돌아보기 명상효과 밝혀
1주일 교육 후 효과 입증… 일반인 120명 중 73.3% ‘가장 힘든 마음 해소됐다’

‘마음수련 명상’이 화와 스트레스 해소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대한스트레스학회 발행 ‘스트레스 연구’ 최근 호는 스트레스와 화병 증상 개선에 대한 연구를 게재하면서, ‘한국서 개발된 마음수련 명상이 심신건강 프로그램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는 연구결과를 공개했다.

마음수련 명상이 화병과 스트레스 증상 및 대처 방식에 미치는 영향(정준용 외) 연구에 자세히 소개됐다. 본 연구에는 덕성여대 심리학과 연구 및 교수진(정준용·김정호·김미리혜 교수)과 김정일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참여했다.

논산 상월면 소재 마음수련 명상 메인센터 1단계 과정에 7박8일간 참가한 남성 65명과 여성 55명 등 일반인 120명을 대상 조사를 반영했다. 조사 결과 ‘만성적 분노증후군’인 화병으로 인한 강박증과 대인 민감성, 우울·불안·적대감·공포불안·편집증·정신증 등 모든 증상 감소 효과를 봤다.

무엇보다 명상 프로그램 이수 후 대상자의 73.3%(85명)가 ‘자신이 가장 힘들어했던 마음의 문제가 해소됐다’고 응답해 눈길을 끌었다. ‘완전 해소’ 6명(5.2%), ‘거의 해소’ 32명(27.6%), ‘많이 해소’ 47명(40.5%)으로 구성됐다.

심리 부문에서는 우울·불안·미래·실패·죽음의 두려움과 부담감·걱정·초조·잡념·성급함·억울함·열등감·죄책감· 일상 마음의 짐 등이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더불어 집중력과 자신감 향상을 넘어 감정과 기분 안정, 마음의 편안함을 느꼈다는 반응이 주류를 이뤘다.

신체 부분에서는 불면증과 두통 및 어깨·허리통증, 변비, 소화 불량, 가슴 답답함, 명치의 덩어리 맺힘, 머리띵한 증세, 열 받을 때 안면 홍조 증상, 몸 무거움, 머리 맑아짐 등의 개선 사례를 확인했다. 대인관계나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도 높아지는 실질적 효과도 창출했다.

가족의 소중함과 시부모에 대한 고마움을 생각하는 계기를 제공했고, 부부·부모님과 문제 및 가족 원망 해소 그리고 지난 과오 반성과 참회 등도 긍정적 효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논문에서 “짧은 기간 마음수련 명상이 남녀 모두에게 스트레스 관련 증상 자체 감소를 가져왔다”며 “스트레스 상황에 대처하는 행동·정서·인지적 측면에서 긍정적이고 의미있는 변화를 확인했다”는 의견을 밝혔다.

한편, 이 연구에서는 화병 환자 대상의 치료방법 선호 인식 조사도 진행했다. ‘어떻게 해야 화병이 치료된다고 생각하는가’의 조사 결과, ‘사고 전환과 용서’가 47.7%, ‘스트레스 원인 해결’이 34.4%, ‘환기나 취미활동’이 29.8%, ‘병원에서의 치료’가 11.3%로 나타났다.

또 화병 치료 가능성에 대해서는 65.8%가 치료가 어렵다는 생각을 표출했고, 이는 자신의 마음을 바꾸기가 쉽지않기 때문으로 받아들였다. 이번 연구결과 화병의 치유 방안은 자신의 마음 바꾸기를 통한 상대방과 화해로 인식했다.

치료도 환자 자신의 마음을 바꾸는데 적합한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견을 담았다. 그런 의미에서도 마음수련 명상은 매우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며, 마음수련 방법에 주목했다.

논문은 마음수련 명상을 ‘집중과 통찰의 과정이 종합된 명상’이라고 소개하는 한편, 심리치료적 의미에서 볼 때도 지나온 삶을 반성적으로 회고하면서 버리는 과정이 주요한 심리 치료 기제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한국인의 스트레스 인지율이 23.8%인 점을 감안할 때, 화병은 이제 중년 여성 뿐만 아니라 남성들에게도 많이 나타나고 있다는 우려도 표시했다.

취업준비생들과 입시위주 체제 속 청소년들, 서비스업 정서 노동자들의 화병 위험률을 높게 분석했고, 마음수련 명상이 이의 에방 및 관리, 치유에 있어 하나의 방안이 될 수있다고도 제시했다.

이희택 기자 nature28@

출처:
https://www.joongdo.co.kr/jsp/article/article_view.jsp?pq=201509160327

Share on FacebookTweet about this on Twitter